한국어문기자협회

  • 즐겨찾기추가
  • 로그인
  • 회원가입
  • 협회소개

    • 인사말

    • 연혁

    • 회칙

    • 조직도

    • 역대집행부

    • 오시는 길

  • 알림마당

    • 어문뉴스

    • 자유게시판

    • 회원사방

    • 사진방

  • 도움마당

    • 표준국어대사전

    • 우리말샘

    • 한국어기초사전

    • 외래어 표기법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 다듬은 말

  • 자료마당

    • 말과글

    • 신문글방송말

    • 기타자료

    • 세미나

    • 간행물 소개

  • 한국어문상

    • 한국어문상 소개

    • 한국어문상 규약

    • 심사기준/시상부문

    • 역대수상자

  • 미디어언어연구소

    • 연구소 소개

    • 구성

    • 정관(회칙)

사이드메뉴 열기

연구소소개 HOME

연구소소개



신문과 방송의 언어는 끊임없이 새로워지려고 한다.
쉴 새 없이 새로운 말을 수용한다. 그렇다고 기존의 언어를 쉽게 버리려 하는 건 아니다. 지키려고 하는 특성 또한 가지고 있다.

현재의 언어 틀을 굳건히 하면서 현실의 언어를 어떤 매체보다 빨리 받아들이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신문과 방송 언어의 특징을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신문과 방송이라는 미디어가 현실에 많은 영향을 미치듯이 그 언어 또한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문과 방송 언어가 나아갈 방향을 살피는 일은 더 없이 중요한 일이다.

이런 취지에서 미디어언어연구소는 설립됐고, 다음과 같은 일을 추진해 나가려고 한다. 미디어의 언어는 쉽고 정확하고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 이런 기준에 맞게 미디어 언어가 쓰이고 있는지 진단하고 연구한다.

토론회는 물론 각종 활동을 통해 미디어 언어 환경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힘쓰고 있다. 관련 학계 및 단체와 각종 사업 등을 통해 연대하며 예비 언론인을 위한 활동도 벌인다.

미디어 언어 발전을 위한 연구보고서, 출판물을 발간하기도 한다.
​

모바일 메뉴

  • 협회소개 malgeul.net

    • 인사말
    • 연혁
    • 회칙
    • 조직도
    • 역대집행부
    • 오시는 길
  • 알림마당 malgeul.net

    • 어문뉴스
    • 자유게시판
    • 회원사방
    • 사진방
  • 도움마당 malgeul.net

    • 표준국어대사전
    • 우리말샘
    • 한국어기초사전
    • 외래어 표기법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 다듬은 말
  • 자료마당 malgeul.net

    • 말과글
    • 신문글방송말
    • 기타자료
    • 세미나
    • 간행물 소개
  • 한국어문상 malgeul.net

    • 한국어문상 소개
    • 한국어문상 규약
    • 심사기준/시상부문
    • 역대수상자
  • 미디어언어연구소 malgeul.net

    • 연구소 소개
    • 구성
    • 정관(회칙)
HOME 사이드메뉴 닫기
LOGIN JOIN

  • 협회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사)한국어문기자협회
  • 우)04520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1402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 대표전화 : 전화: 02-732-7367~8
  • 팩스: 02-723-8755
  • 사업자번호 : 104-82-13050
  • 이메일 : proowri@chol.com


  • 본 누리집의 저작권은 한국어문기자협회에 있습니다.
  • COPYRIGHT(C) 2011 malgeul.net ALL RIGHTS RESERVED.

  • admin